자동차보험은 매년 갱신해야 하므로 보험료 부담이 큰 보험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운전경력을 최대한 활용하면 자동차보험료를 30% 이상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보험회사로부터 운전경력을 인정받아야 하는데, 인정받을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자동차보험, 운전경력으로 보험료 줄이기
▶ 사례1
직장인 A 씨는 취직 후 자동차를 장만하여 자동차보험에 가입하였는데, 백만 원이 훨씬 넘는 보험료에 상당한 부담을 느낌. 보험설계사를 통해 자동차보험에 처음 가입하는 사람이기에 보험료가 높다는 설명을 들었으나 아버지 차를 함께 운전해왔던 자신이 초보 운전자와 같은 수준의 보험료를 내는 것 같아 억울한 생각이 들었음
▶ 사례2
B 씨는 군 운전병으로 운전했던 경력(1년 6개월)과 유학 시절 해외 자동차보험에 가입했던 경험(8개월)이 있음. B 씨는 얼마 전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며 보험회사에 군 운전경력인정을 신청하여 보험료를 절약하였는데, 1년이 안 되는 해외 보험가입 경력은 보험료 절약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여 인정신청을 하지 않음. 이후 B 씨는 친구를 통해 2가지 이상의 운전경력을 합산해 2년 이상 경력을 인정받을 경우 1년일 때보다 보험료를 2배 이상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후회함.
▶ 사례3
두 아들과 함께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C 씨는 앞으로 자녀가 본인의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료를 낮출 수 있도록 첫째 아들을 종피보험자(추가 보험가입경력 인정대상자)로 등록하고 있음. 최근 자동차보험을 갱신한 C 씨는 둘째 아들은 가족 차량을 운전했던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향후 높은 보험료를 부담할 거란 생각에 안타까움을 느낌.
▶ 사례4
관공서 운전직으로 근무 중인 D 씨는 10년 넘게 자동차보험에 가입 중임. 최근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를 알게 되어 자신의 운전경력도 인정대상인지, 인정대상이라면 과거에 이미 인정받아 보험료 산정에 잘 반영되었는지 궁금했으나, 오래전 가입했던 보험회사가 생각나지 않는 등 확인방법을 몰라 애가 탐.
자동차보험료 줄이는 운전경력 100% 활용법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
보험회사는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보험가입경력이 적으면 사고 위험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최초 가입자에게는 할증된 보험료율("가입경력 요율")을 적용하고, 이후 매년 요율을 낮춰서 3년이 지나면 할증된 가입경력 요율을 더 적용하지 않습니다.
이때 보험가입자가 신규로 보험에 가입하더라도 군 운전병, 해외 자동차보험 가입 등 과거 운전경력을 보험가입경력으로 인정(최대 3년)받아서 할증된 가입경력 요율을 낮출 수 있는데, 이를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본인 명의로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지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할증된 가입경력 요율을 적용받을 수 있으므로, 보험회사 콜센터 등을 통해서 운전경력 인정을 신청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운전경력으로 30% 이상 보험료 절약 가능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때 과거 운전경력을 보험회사로부터 인정(최대 3년)받으면 보험료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보험가입자의 차량이 소형이고 연식이 오래될수록 보험료를 더 많이 절약할 수 있는데, 소형. 중고차이면서 운전경력 3년을 인정받을 경우 보험료를 최대 3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2. 운전경력 인정받을 수 있는 사례는 다양
자동차보험 가입 시 보험가입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운전경력은 다양합니다. 현재 자동차보험에서 인정하고 있는 운전경력 5가지는 ① 군 운전병 복무 ② 관공서. 법인체 운전직 근무 ③ 해외 자동차보험 가입 ④ 택시. 버스. 화물차 공제조합 가입 ⑤ 가족 등의 자동차보험에서 추가 보험가입경력 인정대상자(종피보험자)로 등록된 경우 등입니다.
최근 3년간 자동차보험 신규 가입자 중 군 운전병 복무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음에도 운전경력 인정을 신청하지 않은 사람을 추산해본 결과 약 4.3만 명에 이를 만큼, 많은 사람이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보험에 처음 가입할 때는 보험회사나 보험설계사에게 자신의 운전경력인정 여부를 꼭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1년 미만 운전경력도 모으면 유용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에서는 운전경력이 1년 이상 될 때부터 할증된 가입경력 요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때 2가지 이상의 운전경력이 있을 땐 이를 합산하여 경력을 산정하는데, 1년 미만 경력도 합산 가능하므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서로 중복되는 운전 기간은 하나의 기간만 인정합니다.
가령 7개월씩 두 가지 운전경력을 가진 경우 이를 합산(1년 2개월)하여 운전경력 1년에 해당하는 감소한 보험료를 부담하며, 1년 6개월 경력과 8개월 경력이 각각 있다면, 이를 합산(2년 2개월)하여 운전경력 2년에 해당하는 감소한 보험료를 적용받습니다. 만약 1년 미만의 경력을 합산하여 2년을 인정받는 경우 1년일 때보다 보험료 절약액이 2배 이상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4. 전화로도 신청 가능
운전경력인정은 보험회사 콜센터, 담당 설계사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화로도 신청할 수 있지만, 신청 시 경력입증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경력에 따른 서류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운전경력에 따른 제출 서류 안내
운전경력 종류 |
제출 서류 |
발급 장소 |
---|---|---|
군 운전병 |
(주 특기, 운전기간이 명시된) 병적증명서 등 |
병무청, 지방경찰청(경찰 복무) |
관공서. 법인체 운전직 |
운전직 경력증명서, 재직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등 |
근무했던 관공서, 법인체 |
해외 자동차보험 가입 |
출입국사실증명서, 여권사본, 해외 보험가입증명서 등 |
해당 외국 보험회사, (출입국사실증명서) 주민센터, 출입국관리사무소, 온라인(민원24) |
택시 등 공제조합 가입 |
공제조합 가입경력증명서, 운전면허증 등 |
해당 공제조합 |
종피보험자 등록 |
보험가입증명서(사후등록시) |
해당 보험회사 |
5. 본인 외 최대 2명까지 운전경력 추가 인정
가족 등의 자동차보험에 가입(운전)경력 인정대상자(종피보험자)로 등록된 경우, 운전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종전에는 본인 외에 함께 운전하는 가족 중 1명만 추가 인정받을 수 있었으나, 2016년 10월부터는 본인 외에 최대 2명까지 운전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확대되었습니다.
6. 보험가입 후에도 언제든지 신청 가능
운전경력인정은 일반적으로 보험가입 시 신청하지만, 이를 깜박한 경우 보험기간 중이나 종료 후에도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보험료 납부 후에 운전경력을 인정받아 부담해야 할 보험료가 줄어든 경우 더 많이 냈던 금액(과납 보험료)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가족 등 다른 사람(종피보험자)이 운전경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경우, 보험계약자가 사전에 종피보험자 등록을 해두면 향후 종피보험자가 별도로 보험에 가입하더라도 추가 신청이나 제출 서류 없이 자동으로 운전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예 아버지 차를 3년간 함께 운전했던 30세 자녀가 자동차보험 가입 시 종피보험자 운전경력을 일괄 인정받으면 아낄 수 있는 보험료 사례~ 소나타(중고) 등 가정
▶ (인정받지 못한 경우) 1,345,760원
▶ (3년 인정받은 경우) 963,660원 → 382,100원(28.4%) 저렴
7. 운전경력인정 여부는 「파인」에서 확인 가능
자신의 운전경력이 보험가입경력 인정대상인지, 경력이 제대로 보험료 산정에 반영되었는지, 과납 보험료 금액 등을 확인하고 싶은 사람은 금융소비자 정보 포털사이트 「파인」에 들어가 "잠자는 내 돈 찾기" 코너에서 "자동차보험 과납 보험료"를 클릭하면 일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과납 보험료가 있으면 해당 보험회사를 통해서 환급받을 수 있으며, 보험회사의 고의 / 과실로 인한 과납 보험료에 대해서는 이자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예 운전경력인정 여부를 확인하여 과납 보험료를 환급받은 사례
사례1
외국에서 입국한 E 씨는 국내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며 해외 보험가입경력인정을 신청함. E 씨는 자신의 경력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여, 가입경력이 빠진 사실을 인정받아 54만 원의 과납 보험료를 환급받음
사례2
운전병으로 복무했던 F 씨는 제대 후 가입(운전)경력인정제도를 알게 되었고, 본인의 군 경력이 자동차보험 가입 시 제대로 반영되어 보험료 감소 혜택을 받았는지 궁금하여 확인한 결과, F 씨의 군 운전병 복무 경력(2년)이 빠진 사실이 확인되어 과납 보험료 130만 원을 환급받음.
8. 자동차보험 비교사이트 활용
자동차보험은 매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이므로 한 번 가입할 때, 여러 회사의 상품을 비교해 보고 꼼꼼하게 따져본 다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자동차보험 비교사이트의 무료상담이나 비교 견적서비스를 활용하면 최소 10% 이상의 보험료를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 | 자동차보험, 운전경력으로 보험료 줄이기 | admin | 10619 |
27 |
자동차보험사 긴급출동 서비스
![]() | admin | 2044 |
26 | 여름철 재해로 인한 피해 발생 시 보험금 청구 방법 | admin | 1942 |
25 | 오래된 자동차 '자차'를 빼면 안되는 이유 | admin | 1634 |
24 | 저렴한 자동차보험료 저렴하게 계산, 산출하는 꿀팁 | admin | 1071 |
23 | 자동차보험 보상과 관련된 분쟁 조정은 e-금융민원센터 | admin | 1014 |
22 | 온라인으로 자동차보험 갱신 시 알아두면 좋은 정보 TIP | admin | 936 |
21 | 자동차보험료 할인, 절약하는 삶의 지혜 | admin | 738 |
20 | 자동차 보험료 가격은 낮추고 보장은 올리고.. 자동차보험료계산기 활용하면 새는 보험료 잡는다. | admin | 637 |
19 | 자동차 용도에 따른 자동차보험 상품의 종류 | admin | 507 |
18 |
이제는 자동차보험도 온라인가입時代!
![]() | admin | 503 |
17 | '자기신체사고'와 '자동차상해' 어떤게 유리할까? | admin | 468 |
16 | '운전자 보험 vs 법률 지원 특약', 어떤 게 유리할까? | admin | 456 |
15 | 자동차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는 TIP | admin | 447 |
14 | '무보험차 상해' 특약에 대한 오해와 진실 | admin | 412 |